시간을 어떻게 나눠서 쓰라는 거지?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2025. 4. 20. 15:31생활 정보

난 왜 시간이 항상 부족할까?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핑계고)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핑계고)

 

 

시간을 잘 배분해서 써야 된다는데 어떻게 나눈다는 거지?

나는 그냥 하루가 '통'이던데?

 

누구는 하루에 아르바이트를 두 탕 뛰고

아이도 키우고

자격증도 딴다는데 

나의 하루는 왜 통으로 뭔가에 몰빵하고 끝나는 걸까?

 

MBTI J와 P의 대표 주자 유재석, 김고은 (출처 :핑계고) MBTI J와 P의 대표 주자 유재석, 김고은 (출처 :핑계고)
MBTI J와 P의 대표 주자 유재석, 김고은 (출처 :핑계고)

 

 

P형 인간인 나는 J형 인간이 말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써야 한다,

짬을 내서 운동도 하고 자기 계발도 하고 취미도 해야 한다.'

 

이런 말을 들으면 도대체 하루를 어떻게 나눠서 쓴다는 건지

막막해서 눈앞이 깜깜해진다.

 

 

하고 싶은 건 많고 몸은 한 개...

 

매일 블로그도 1일 1포스팅 하고 싶고,

캘리그래피 연습도 매일 꾸준히 하고 싶고

그림도 매일 그리고 싶고

건강을 위해 운동도 해야 하고

읽으려고 사놓은 책은 한 트럭이다.

 

이걸 하루에 조금씩 다 하려면 시간도 부족하려니와,

나는 한 번 시작하면 쉽게 멈추지 못하고

'이 흐름이 좋다' 싶으면 그대로 흐름을 타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다.

 

 

어느 날은 며칠 간 블로그만 주야장천 쓰고

어느 날은 하루종일 책만 읽는다.

한 번 몰입하면 멈출 수가 없고 멈추기가 싫다!

 

문제는 이렇게 살다 보면

붓은 굳어가고 스케치북에는 까맣게 먼지가 쌓여 간다는 것.

 

좋아하고 하고 싶은 게 많지만

결국 하나만 계속 하게 되는 이상한 리듬을

어떻게 돌파할 수 있을까?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주로 둘이서)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주로 둘이서)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주로 둘이서)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주로 둘이서)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주로 둘이서)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주로 둘이서)

 

◎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 팁  

 

당신은 시간 관리를 못 하는 게 아니라,

자기만의 방식대로 시간을 쓰는 방법을 못 찾은 것이다.

 

한 가지에 푹 빠져 오래 할 수 있다는 건 집중력이 강하다는 말!

 

사실 좋게 말하면 나 같은 사람은 몰입형 인간에 속한다.

집중력을 발휘해 몰입할 수 있다는 것은 굉장히 큰 능력이다.

 

하지만 그것이 불균형으로 흐르게 되면

다른 중요한 일, 해야 할 일이 밀리는 게 문제가 된다.

 

이런 사람은 몰입형 인간의 최대 강점인 몰입력을 살리면서도

균형 잡힌 계획을 짜는 것이 좋다.

 

☞ 핵심 전략 : 블록 집중 + 서브 활동 루틴

 

한 번에 몰입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하루 단위가 아니라, 주 단위 블록 계획을 짜보는 것을 추천한다. 

 

내 기준으로 주요 활동을 

블로그, 캘리그래피&그림, 독서로 나누어 계획을 짜보겠다.

 

 

⊙ 몰입형 인간을 위한 1주일 계획

 

요일 메인 활동 서브 활동
블로그 (2~4시간 몰입) 독서 30분
블로그 계속 (2~4시간) 캘리그라피&그림 아이디어 구상
캘리그라피&그림 집중 (2~4시간) 블로그 아이디어 메모
캘리그라피&그림 계속 (2~4시간) 독서 30분
독서 집중 (2~4시간) 그림 강의 수강
휴식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쉬면서 하고 싶은 것을 한다
자유 ( 평일에 못 한 것을 자유롭게 하고 싶은 대로 한다) 다음 주 계획 구상

 

 

⊙ 포인트 설명

 

① 몰입 블록을 활용 

 

     하루에 2~4시간씩 한 가지에 몰입하는 방식으로 하되,

     매일 주제는 살짝 바꿔서 균형을 맞춘다.

 

     이렇게 하면 본인이 좋아하는 몰입의 흐름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다른 것도 놓치지 않게 해 준다. 

 

② 서브 활동 활용

 

    서브 활동은 반드시 부담 없는 시간으로 15~30분 정도 짧게 잡는다.

    이렇게 매일 다른 활동을 서브로 살짝 해주면

    다음에 다시 할 때 진입하기가 쉬워진다.

 

③ 주말은 유연하게 활용

 

    주말에는 평일에 놓쳤던 것을 보완하거나,

    평일에 몰아서 했던 활동을 정리하거나, 

    정말 하고 싶은 것을 즉흥적으로 그냥 하는 날로 활용한다.

    다음 주를 위한 리캡이나 예열하는 느낌으로 활용하면 된다.

 

 

⊙ 실천 팁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픽사베이)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픽사베이)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픽사베이)
P형 몰입형 인간의 시간 관리법 (출처 : 픽사베이)

 

① 타이머 활용

    

    예를 들어 '오늘은 블로그 몰빵데이' 라고 

    타이머를 맞추고 3시간을 쭉 몰입한다. 

    몰입을 끝낸 후, 딱 30분만 독서를 한다. 

 

② 눈금식 스케줄러

 

    하루 시간표를 칸으로 나누기보다는, 

    '오늘은 이 활동 몇 블록' 식으로 계획을 짠다.

    예) 블로그 2블록, 독서 0.5블록

 

③ 전환 루틴 활용

 

    몰입이 끝난 뒤, 다른 활동으로 넘어가기 어렵다면, 

    한 활동과 다른 활동 사이에 산책이나, 티타임, 스트레칭, 멍 때리기 같은 활동을 한다.

 

    전환 루틴은 활동을 바꿔야 할 때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다음 활동으로 넘어갈 수 있게 다리 역할을 하는 정말 중요한 활동이다.

 

    활동 중간에 전환 활동을 넣는 것은 

    시간 낭비가 아니라, 신의 한 수!

 

◎ 몰입의 늪과 지침의 벼랑을 벗어나자!

좋아하는 일을 지치지 않고 오래 꾸준히 하는 법 (출처 : 픽사베이) 좋아하는 일을 지치지 않고 오래 꾸준히 하는 법 (출처 : 픽사베이) 좋아하는 일을 지치지 않고 오래 꾸준히 하는 법 (출처 : 픽사베이)
좋아하는 일을 지치지 않고 오래 꾸준히 하는 법 (출처 : 픽사베이)

 

⊙ 몰입형 인간의 폐해

 

한 번 빠지면 끝장을 보려고 하는 몰입형 인간은

흥미가 생기면 하루종일 그것만 한다.

 

그래서 뭔가 재미있는 것을 발견하면

미친 듯이 하다가 며칠 뒤,

완전히 '넋' 다운해 버린다.

그리고는 질려버려서 아예 손을 놔버린다.

 

너무 재밌어서 몰입 → 질릴 때까지 달림 → 지쳐서 갑자기 손도 대기 싫어짐

 

이것이 진짜 몰입형 인간의 전형적인 패턴이다.

 

이건 의지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재미를 너무 빠르게 소모해서 생기는 현상이니

너무 자책하지 말길!

 

흥미가 떨어진 것이 아니라,

리듬을 잘 안배하지 못해서 과열 상태에 빠진 것이다.

 

즐거움의 속도를 너무 높이면 내적 번아웃이 와버린다.

 

 

⊙ 좋아하는 일을 질리지 않고 오래 사랑하는 법

 

그렇다면 내적 번아웃 상태에 빠지지 않고

좋아하는 일을 오래 꾸준히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블로그를 질리지 않고 꾸준히 쓰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① 60%만 쓰고 멈추기 - 일부러 여운을 남긴다

 

   일본의 유명한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매일 글을 쓰고

   가장 재밌는 포인트에서 일부러 그만 쓴다고 한다.

   그래야 내일 글을 쓸 때 쉽게 진입할 수 있고 쓰고 싶은 마음이 든다고 한다.

 

   에너지를 완전히 다 써버리면 다음 날 하기 싫어진다.

   오늘 아이디어가 막 떠올라도 다 쓰지 말고

   내일 쓸 내용을 일부러 남겨둔다. 

   그래야 다음 날 다시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예) 블로그를 1편 다 쓰지 말고 중간까지만 쓰고 저장한다.   

   예) 초안만 쓰고 마무리는 다음에 한다.   

   예) 아이디어 정리만 하고 본문은 다음에 쓴다.   

 

② 블로그 쓰기가 아니라 '블로그 활동'으로 전환한다

 

    지치기 전에 방향만 살짝 바꿔 본다.

    이렇게 하면 블로그 작업은 계속 하지만

    '쓰기' 활동 자체는 쉬게 되므로 덜 질린다.  

    

    예) 썸네일 만들기, 관련 자료 조사, 지난 글 리마인드 하면서 수정하기, 내 글을 낭독해 보기

    

③ 전혀 다른 자극을 살짝 넣는다

 

    블로그와는 전혀 관련 없는 활동을 하루에 30분 정도 한다.

    창의력은 의외의 조합에서 탄생하는 법이므로!

 

    예) 캘리그래피로 손을 움직인다 → 글 감성이 살아난다

         그림을 그린다 → 시각적 상상력을 자극한다

         산책하며 멍 때린다 → 뇌가 자동으로 글 생각을 정리한다

 

④ 이틀에 한 번은 블로그 쉬기

 

    블로그를 쓰는 게 재미있을수록 쉬는 게 포인트다.    

    하루 쓰고 쉬거나, 이틀 쓰고 쉬면

    하고 싶은데 일부러 안 하는 리듬으로

    지치지 않고 오래갈 수 있게 해 준다.

 

 


 

 

◎ 요약

 

하루에 하나만 하게 되는 몰입형 인간은

 

1. 메인 활동을 정해서 한 가지 활동에 몰입하고 서브 활동을 짧게 해서 몰입은 살리고 균형도 잡는다.

2. 각 활동 블록 사이에 전환 루틴을 넣어 다른 활동으로 넘어가기 쉽게 한다.

3. 몰입형 인간의 최대 단점인 번아웃을 피하고 질리지 않으려면 다음날 먹을 재미를 남겨둔다.

 

 

시간 관리는 결국, 나를 이해하는 것

 

모든 사람에게 같은 시간 관리법이 통하는 것도 아니고

내가 게으르고 의지가 부족해서 시간을 잘 못 쓰고 있는 것도 아니다.

 

시간 관리가 꼭 빡빡하게 채워진 일정을 지키는 '계획표' 같은 것은 아니다.

나를 잘 이해하고 내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살짝씩 조율하면

의외로 내가 좋아하고 사랑하는 일을 더 많이, 더 오래 할 수 있다.

 

그러니까 너무 억지로 다른 사람이 좋다고 하는 방식에 나를 끼워 맞추지 말고

P형 몰입형 인간인 우리에게 주어진 몰입이라는 멋진 능력을 잘 굴리는 방법을 모색하고 익히자!

 

 

《폭싹 속았수다》 명대사 50개 모음 1탄 : 눈물 찔끔, 마음을 울리는 제주도 배경 드라마

아직도 《폭싹 속았수다》의 여운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짧은 클립 찾아보며 울고 웃고 있는 1인입니다.제주도의 사투리와 함께 따뜻한 사람 냄새나는 《폭싹 속았수다》속의 명대사를 정리

infotree.reidays.com

 

 

'폭싹 속았수다' 명대사 50개 모음 2탄 - 웃음과 눈물의 향연, 감동의 드라마

지난번 드라마 명대사 50개 모음 1탄에 이어 2탄 올립니다. 대사 하나하나가 다 울림이 있어서 그냥 주워 담아도 보석입니다. ◎ 《폭싹 속았수다》명대사 1. 나 너무 좋아. (애순) 2. 점복 팔아 버

infotree.reidays.com